반응형
250x250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한번에 끝내는 Java/Spring 웹 개발 마스터 초격차 패키지
- 패스트캠퍼스후기
- 패스트캠퍼스
- albert
- 한번에 끝내는 Java/Spring 웹 개발 마스터 초격차 패키지 Online.
- R
- 한번에 끝내는 Java/Spring 웹 개발 마스터 초격차 패키지 Online
- 알버트
- AI
- SKT
- 한번에끝내는Java/Spring웹개발마스터초격차패키지
- 패캠챌린지
- 직장인인강
- 직장인자기계발
Archives
- Today
- Total
제주 탈출 일지
알고리즘 정리 - 점근적 표기 본문
728x90
반응형
점근적 표기법
: 변수의 크기가 충분히 큰 경우에 변수가 커짐에 따라 함수가 증가하는 비율을 표현하는 방법
이 표기법은 계수가 중요하지 않다. n.이 커짐에 따라 계수의 영향은 미미해지고, 점근적 표기에서 계수를 무시하는 이유이다.
1. 세타 표기법(θ)
θ(f(n))은 점근적 증가율이 f(n)과 일치하는 모든 함수의 집합.
ex) 5n^2 + 4n = θ(n^2)
여기서 "=" 기호는 같다는 표현이 아닌 포함된다로 사용된다.
2. 빅오 표기법(O)
O(f(n))은 점근적 증가율이 f(n)을 넘지 않는 모든 함수의 집합
ex) 5n^2 + 4n = O(n^2)
ex2) 7n = O(n^2)
최고차항의 차수가 f(n)과 일치하거나 그보다 더 작은 함수의 집합.
O-표기는 함수의 점근적 상한을 나타낸다.
3. 오메가 표기법(Ω)
Ω(f(n))은 점근적 증가율이 적어도 f(n)이 되는 모든 함수의 집합.
ex) 5n^2+4n = Ω(n^2)
최고차항의 차수가 f(n)과 일치하거나 더 큰 함수의 집합.
Ω-표기는 함수의 점근적 하한을 나타낸다.
728x90
반응형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알기쉬운 알고리즘] 2장 연습문제 (2) | 2021.06.03 |
---|---|
[알기쉬운 알고리즘] 1장 연습문제 (0) | 2021.05.27 |
알고리즘 정리 - DFS, BFS (0) | 2020.11.01 |
알고리즘 정리 - 점화식과 알고리즘 복잡도 분석 (0) | 2020.10.29 |
Comments